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라인 (클릭하시면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건설현장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비
국토교통부와 국토안전관리원은 스마트 안전장비의 활용과 비용 계상 및 사용에 따른 운용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며,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스마트 안전장비의 특성을 분석해 설치와 유지관리 등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건설현장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24년 3월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습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건설공사에 적용이 가능하나,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소방시설공사, 문화재 수리공사 등은 포함되지 않으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안전관리비 계상이 가능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장비
카스웍스가 이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를 소개하고 싶은 이유로, 현장에서는 아직도 어떤 장비가 스마트 안전장비로 분류되는지 그리고 계상은 가능한지 헷갈려 하거나 전혀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을 소개해 드리고, 가이드라인에 맞는 카스웍스 서비스도 간단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본문을 읽어보시고 현장과 상황에 맞는 스마트 장비를 도입하시길 바랍니다.
스마트 안전장비 분류체계와 도입단가
가이드라인에 수록된 스마트 안전장비의 분류로는 건설안전 종합관리 시스템·위험요소 모니터링 장비·작업위험 경보알림 장비·구조물위험 경보알림 장비·방비위험 경보알림 장비·근로자 안전관리 장비·스마트 안전교육 시스템이 있습니다.
분류와 장비, 도입단가는 다음에 정리된 표에서 확인해보세요.
분류체계/장비명 | 도입단가 (천원) | |||
건설안전 종합관리 시스템 | ||||
| 안전관리 시스템(구축형) | 20,000 | ||
안전관리 시스템(모바일) | ||||
위험요소 모니터링 장비 | ||||
| AI CCTV | 고정형 | 5,000 | |
이동형 | ||||
일반 CCTV + 분석 솔루션 | 25,400 | |||
로봇 안전관측 장비 | 제외(표준화 미진행) | |||
드론 안전관측 장비 | ||||
웨어러블 카메라 | ||||
작업위험 경보알림 장비 | ||||
| 위험지역 접근경보 장비 | 800 | ||
화재위험 감지경보 장비 | 2,800 | |||
유해가스 측정경보 장비 | 2,800 | |||
구조물위험 경보알림 장비 | ||||
| 붕괴·변위 위험경보 장비 | 800 | ||
콘크리트 양생 모니터링 장비 | 4,250 | |||
장비위험 경보알림 장비 | ||||
| 원격 와이어 점검 장비 | 15,000(구매) 750(임차/월간) | ||
건설기계 접근감지 장비 | 1,000 800 | |||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장비 | 5,000 | |||
근로자 안전관리 장비 | ||||
| 스마트 개인 안전장비 | 스마트 안전턱끈 | 200 | |
스마트 통신조끼 | 3,300 | |||
스마트 안전모 | 300 | |||
스마트 안전고리 | 250 | |||
스마트 밴드(워치) | 200 | |||
스마트 안전태그 | 200 | |||
스마트 에어백 조끼 | 1,200 | |||
출입관리 장비(시스템) | 2,500 | |||
스마트 안전교육 시스템 | ||||
| 스마트 안전교육 장비 | 제외(표준화 미진행) | ||
(기타) 설계·구축비용 | ||||
| 스마트 안전관리 상황실 구축 | 12,000 | ||
중계기(통신 게이트웨이) 설치 | 대당 1,200 | |||
고정형 AI CCTV 설치 | 대당 400 | |||
개별 스마트 안전장비 설치 | 대당 30 | |||
(기타) 운영비용 | ||||
| 스마트 안전장비 유지보수 | 장비 도입단가의 8% | ||
월간 통신비 | 50 (LTE) | |||
1 (LoRa) | ||||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안전관리비로 계상이 가능한 물품으로 생각하는 것들은 '근로자 안전관리 장비' 부분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장비나 시스템이 안전관리비로 처리할 수 있고, 심지어 유지보수비와 통신비까지도 가능합니다. 생각보다 계상 가능한 품목이 상당히 많으니, 가이드를 다운받아서 보시면 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23년 8월 확대된 건설업 안전관리비의 스마트 안전장비 단가기준은 건설기술 진흥법 제63조에 따른 안전관리비로 계상하고,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의거하여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 및 임대비용의 40%를 산업안전보건관리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은 총액의 10% 이내로 한정됩니다. 자세한 계산방법이 궁금하시면, 카스웍스 스마트 안전 도입 계산기를 받아서 확인해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활용방안과 스마트 안전장비 품목
가이드라인에는 주요 활용방안에 대한 내용도 수록되어 있는데,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통합 모니터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안전관리 시스템, 모바일 앱, 개인안전 장비와 AI CCTV의 기본 활용을 권장합니다.
기본 활용방안에는 안전관리 시스템과 CCTV 등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공종별 활용 예시로는 가설공사, 굴착 및 발파공사, 콘크리트 공사, 강구조물 공사, 성토 및 절토공사, 해체 및 철거공사, 건축설비 공사, 타워크레인 사용공사 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공사 종류가 나오는데 공통적으로 나오는 품목이 근로자 개인 안전 장비와 AI CCTV입니다. 그 밖에는 스마트 안전교육 장비 활용방안이 있는데, 스마트 TBM 등 안전교육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도 안전관리비로 계상이 가능합니다.
안전관리비 계상이 가능한 카스웍스 솔루션
카스웍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 안전관리비로 계상이 가능한 것들을 분류와 품목으로 나눠서 안내드리겠습니다.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을 위해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카스웍스 계산기
건설안전 종합관리 시스템: 카스웍스 플랫폼 PC, 모바일앱
위험요소 모니터링 장비: 실시간 CCTV / AI 안전관리 / 웨어러블 카메라
근로자 안전관리 장비: 홍채인식 솔루션 / 스마트 근로자 관리
스마트 안전교육 장비: 모바일TBM / 위험성평가 / 현장 안전사고 제보
운영비용: 월간 통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