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003 | 📮 {하플레터} 건축주를 위한 체크리스트

깜짝 놀랄 건설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다고?!
2021.08
{하플레터} NO.03
⛱ 덥다 더워  에어컨 선풍기와 물아일체가 되어가고 있는 요즘입니다. 열심히 작업보고 이야기를 쓰던 김사원🌱. 작업보고 속 타임랩스 생각하니까 구글 타임랩스가 생각났어요. ▷여기◁를 클릭하시면 1984년부터 지금까지 점점 녹아가는 빙하를 (타임랩스로!)볼 수 있대요.
무더운 여름날 {하플레터}와 함께 한숨 쉬어가는 건 어때요?
이달의
⭐ IT, 건축의 무한한 가능성을 꿈꾼다
📌 건축 예산 체크리스트
📌 오색빛깔 외장재, 시공 최고난도는?!
📌 하우스플래너 A to Z: 작업보고

📺 건축가 인터뷰도 준비했어요!


Object.assign(IT, 건축);
IT, 건축을 만나다
하우스플래너를 서비스하고 있는 아이콘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합니다. 나오기만 하면 천지도 개벽할 수 있다는데요.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김프로를 찾아 특급 비밀을 알아봤습니다.
제3편
{천지개벽 할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Q1. 소문의 주인공, 어떤 서비스인가요?
지금 준비하고 있는 서비스는 건설 관련 종사자 모두를 위한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프로젝트와 관계된 주체들, 특히 기업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Q2. 신규 서비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넘어 회사와 회사, 솔루션과 솔루션 등 모든 것이 연결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가 카카오톡의 사용성만큼 매우 쉽습니다. 이를 통해 큰 규모의 프로젝트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이 쉽게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Q3. 준비된 디테일 살짝만 알려주세요
단 한번의 클릭으로 한 화면에서 프로젝트에 관한 모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들어, 신규 서비스에서 선보이는 작업보고 페이지에는 일일 작업 내용이 공종별 데이터로 정리되고, 공사 진행 상황까지 한 화면에 구성됩니다. 한 눈에 공사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Q4. 출시 이후 기대하는 점은?
다양한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 가능한 건설 플랫폼이 되는 것? 사실 저희가 준비하고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건설과 관계된 수많은 “액션”들이 한 곳에서 해결될 수 있는 플랫폼을 기획하고 있어요. 관리의 확장보다 더 큰 개념이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5. 출시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8월 둘째 주 오픈 예정입니다.
건설은 종합예술이라고들 하잖아요? 다양하고 수많은 정보들이 정리되어 보이게 배치하는 데 정말 고심했으니까요, 기대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플 체크리스트 📝
─ "건축 외 비용, 뭐가 필요할까?"
“건축을 진행하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제일 처음 떠오르는 건 토지비용, 건축공사비, 각종 세금. 그런데 막상 건축을 시작하면 ‘건축 외 비용’이 쏟아집니다. “순수 건축비에 포함되는 거 아니었어?” 싶은 항목들도 있고요.
당황하지 않고 😎 예산 든든히 챙길 수 있게 체크리스트를 공유해드립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해보세요.

하플 어워즈
 오색 빛깔 외장재, 시공 최고난도는? (정릉동 상가주택)
요앞(YOAP)건축사사무소에서 설계하고, 본집에서 시공한 정릉동 상가주택.
비계가 해체되던 날, 순식간에 뒤바뀌던 정릉동 골목의 분위기를 기억합니다. 다양한 외장재를 사용해 건물과 거리에 새로운 경관을 불어넣은 상가주택, 시공 비하인드입니다.
ⓒBonzip

정릉동 상가주택은 파벽마감과 알루미늄 타공판, 패턴 콘크리트 세 종류로 되어 있습니다. 그중 오늘은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은 노출 콘크리트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정릉동 상가주택은 패턴 콘크리트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패턴 콘크리트는 송판을 이용하여 굴곡 무늬를 만든 ‘송판 노출 콘크리트’, 거푸집 모양을 그대로 남겨두는 ‘폼 노출 콘크리트’ 두 가지로 되어 있죠. 노출 콘크리트 시공이 가장 까다롭다는데, 왜 그럴까요? 김소장님께 물어봤어요.

“노출 콘크리트는 시공과 동시에 마감재가 되기 때문에 신경이 바짝 쓰여요.”

먼저 폼(거푸집)을 설치할 때는 면의 고르기 또는 송판 간격을 세세하게 시공해야 합니다. “노출 품질을 위해서는 사용한 콘크리트 규격도 달라야 해요. 콘크리트 타설 시엔 특별히 고주파 진동기를 이용해야 하고요. 그래야 깔끔하게 모양이 나오거든요.” 계절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겨울에는 쉽게 얼어붙어서 거푸집 해체를 매끄럽게 하기 어렵다고. “정밀한 작업이에요. 평소보다 두 배 세 배 이상 신경이 쓰이죠.”
이렇게 공들여 지어진 집, 어떻게 오래오래 새것처럼 유지할 수 있을까요?

“유지관리는 다르게 말하면 건물을 보호한다는 거죠.”

조적 벽체나 노출 마감 재질을 보호하는 재료는 ‘발수제’입니다. 물이 스며들지 않고, 햇볕에 바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해요. 발수제는 보통 4~5년에 한 번 하는 게 좋다는 소장님의 팁! 노출 콘크리트도 4~5년마다 갈라진 틈을 보수하면 아주 말끔하게 쓸 수 있다고 해요.

여러 외장재를 조화롭게 사용하여 오묘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는 정릉동 상가주택. 외관만큼이나 다채로운 이야기가 그 안에 펼쳐지길 기대합니다.

시공: 본집


하우스플래너 A to Z
 최하플💡의 하플 사용기: 작업보고

최근 최하플💡이 도사가 됐대요. 작업보고 도사(...). 프로젝트 시작부터 완공까지 하플로 작업보고 쓰고 나니까, 이제는 자기보다 더 작업보고 잘 쓰는 사람 없을 거래요. 최하플💡한테 물어봤어요.
“하플에서 쓰는 작업보고, 뭐가 특별해?”

아카이빙이란 이런 거지
1분으로 압축한 현장 영상과 ⑵ 공사 내용, ⑶ 인원·장비 투입 현황 그리고 ⑷ 사진까지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기록들은 공사가 진행되는 중에는 원활한 소통의 근거가 되고, 완공된 후에는 건물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답니다.

작업보고? 간단하지!
하우스플래너에 작업보고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이런 정보들도 기재됩니다.
첫째, 따끈따끈한 날씨 정보. 둘째, 건축주의 현장 이해를 돕는 용어설명. 셋째, 공정 완료 예정일이죠. 검색할 필요도, 사전을 찾을 필요도 없어요.

분석은 나한테 맡겨! 🤖
작업보고만 작성해도 공정 관리가 쉬워집니다. AI가 작업보고에 기재된 공정 진행 현황을 분석해주거든요. 투입 인원이 자동 누계되고, 날씨 데이터와 공정 진척도는 그래프로 정리되어 표시되죠. 공정 관리에 엄청난  효율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하플 엿보기👀

건축가 인터뷰📺 | 『좌향, 여백, 표층』 홍만식 소장님

지난달『좌향, 여백, 표층』선물 이벤트가 있었는데요. 당첨되신 분들께는 소장님 친필 사인본이 배송되었어요. 받으신 책은 잘 읽으셨나요? 😀 사실 홍소장님 인터뷰는 영상으로도 담아왔더랬죠(김사원🌱의 빅 피쳐☆). 짧은 인터뷰 글에서는 담지 못했던 이야기, 같이 보실래요?

아 참! 홍만식 소장님이 서평 이벤트를 하신대요.


오늘 {하플레터}는 어떠셨나요?
김사원🌱은 피드백을 먹고 자랍니다.
{하플레터} 제4편은 전혀 새로워진 모습으로
9월 7일에 찾아옵니다🥳

메일이 안전하게 배송될 수 있게,
주소록에 하플메일(hausplanner@ai-con.co.kr)을 추가해 주세요.


(주) 아이콘  www.ai-con.co.kr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14-6, 1층
문의: 1666-1967
Copyright 2020 ⓒ AiCon. All Rights Reserved.